여가부·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통계 발표
1980년 34.9%→2024년 15.1%…2060년 9.7% 전망 [파이낸셜뉴스] 2060년 청소년 인구 비중이 총 인구 10명 중 1명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 청소년 인구는 총인구의 15.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5월 청소년의 달을 맞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소년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2024년 9세부터 24세까지의 청소년 인구는 총인구의 15.1%인 782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97만5000명에서 소폭 줄었다.
청소년 인구 하향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40년 전인 1984년에는 청소년 인구가 총인구의 34.9%(1410만8000명)에 달했으나 2060년에는 총인구의 9.7%인 411만8000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성별 구성비를 보면 남자가 51.8%, 여자가 48.2%이다.
다문화학생 비중은 점점 늘고 있다. 2023년 기준 다문화 학생은 18만1178명으로 2022년과 비교해 1년 새 7.4%(1만2533명) 늘었다. 전체 학생인구 521만8000명 중 3.5%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청소년 사망자 수는 전년(2021년) 대비 1.7%(32명) 감소한 1901명이다. 남자가 58.9%(1119명)으로 여자 41.1%(782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사망원인은 고의적 자해(자살)이 1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안전사고(3.9%), 악성신생물(암)(2.5%) 등 순이다.
2010년에는 안전사고가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였지만 2011년 이후 자살이 계속해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자살로 인한 사망은 2021년 11.7명에서 2022년 10.8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 중·고등학생 10명 중 3명 이상(37.3%)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2년 대비 4.0%p 감소한 수치다. 학교 급별로 보면 고등학생이 37.6%, 중학생이 37.0%다.
성별로는 여학생(44.2%)이 남학생(30.8%)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들의 26.0%는 최근 1년 내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중학생(26.3%)이 고등학생(25.6%)보다 높았다.
1년 내 우울감 경험률 역시 여학생(30.9%)이 남학생(21.4%)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인구 #여성가족부 #청소년의달 #다문화학생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