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軍 "北 신형 극초음속 IRBM 도발, 실패 관측... 2차 정점고도 없다"

파이낸셜뉴스 2025.01.07 13:58 댓글 0

공기마찰열 견디려 탄소섬유복합재료 적용…과장 가능성 관측
軍 "극초음속은 종심 짧은 한반도서 성능 발휘 어려워…요격 준비"


[파이낸셜뉴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총국은 1월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면서 "김정은동지께서 (이를)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하시었다"라고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총국은 1월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면서 "김정은동지께서 (이를)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하시었다"라고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전날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중거리급 탄도미사일(IRBM)이 결과적으로 또다시 실패한 것으로 관측했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와 2차 정점고도 등은 기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한미일이 분석한 사거리는 1100여㎞이고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북한이 극초음속 IRBM에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를 적용했단 점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북한은 국가에 선전·선동부를 두고 있을 만큼 선전·선동, 기만에 능한 조직이다"라며 과장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이 실장은 "극초음속 미사일은 종심이 짧은 한반도 내에서는 성능 발휘가 어려울 것"이라며 "한미 연합 ISR(정보·감시·정찰) 자산과 미사일 방어체계를 기반으로 북한이 보유한 어떠한 미사일도 요격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50㎞ 이내의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면서도 지구 곡률로 인한 제약 변칙 기동이 가능해 때문에 레이더로 탐지·추적·요격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미 양국 군의 미사일 대응체계를 무력화해 전술핵으로 공격하기 위한 이상적인 투발수단으로 평가된다.

마하 5 이상의 극초음속 IRBM은 탄두부의 활강비행체(HGV)가 재도약 뒤 섭씨 2000도에 육박하는 공기마찰열을 견디기 위해 탄소섬유복합재료 등을 적용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이날 북한 관영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평양 교외의 발사장에서 동북방향으로 발사된 미사일의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탄두부)가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가 사용되였으며 비행 및 유도조종체계에도 이미 축적된 기술들에 토대한 새로운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이 도입됐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또해당 미사일이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로 1차 정점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찍으며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비행해 1500㎞ 계선의 공해상 목표 가상 수역에 탄착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번 시험발사는 기존 시험에서 2차 정점고도를 낮추고 속도를 증가시킨 재발사 시험이라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지난해 4월 2일에도 평양시 교외의 한 군부대훈련장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가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1차 정점고도 101.1㎞, 2차 정점고도 72.3㎞를 찍으며 비행해 사거리 1000㎞ 계선의 동해상 수역에 정확히 탄착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전날 발사한 북한의 극초음속 IRBM은 지난해 4월 발사 때와 같이 각각 1·2단 추진체는 정상적으로 분리돼 1차 정점고도에 올랐으나, 모두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는 게 우리 군의 판단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주일미군, 괌 기지의 탄도탄 방어망 돌파를 위해 극초음속비행체의 저고도 활강 도약, 선회 비행 능력 향상을 위한 발사시험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통 극초음속 미사일은 1·2단 추진체의 추력을 바탕으로 1차 정점고도까지 상승 후 낙하하다가 물수제비가 튀어 오르듯 재도약을 통해 2차 정점고도에 이르며 다시 대기권 이하의 낮은 고도에서 타격 목표지점까지 날아가게 된다.

전문가들은 이날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이 지난해 4월 공개된 북한의 극초음속 IRBM '화성포-16나'(극초음속 4형)와 외형상 큰 차이가 없다며 사거리 확보를 위해 1단 추진체의 길이를 늘아고 공기마찰열을 견디기 위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적용과 내부 냉각체계를 새롭게 했을 가능성 등 일부 기술적 진전도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북한이 극초음속 IRBM의 개발을 완료하기까진 2차 정점고도 및 장거리 활공 능력 검증 등이 필요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로 전해졌다.

북한 미사일총국이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김정은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북한 미사일총국이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김정은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북한 미사일총국이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김정은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북한 미사일총국이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김정은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