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미 2+2 통상 협의'
관세, 환율 등 4개 논의 공감대 ![브리핑하는 최상목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5.4.25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http://image.moneta.co.kr/news/picture/2025/04/25/20250425_26339648.jpg) |
브리핑하는 최상목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5.4.25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
【파이낸셜뉴스 워싱턴(미국) 서울=이보미 김규성 기자】오는 7월까지 한국과 미국의 통상협상은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다만 조기대선 등 우리나라 정치일정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어 새 정부가 출범하는 6월4일 이후 협상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결과, 앞으로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가 참석했다.
관세·비관세 조치는 한국과 미국의 입장을 각각 반영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는 90일간 유예된 상호관세 부과 철폐와 자동차 등 품목관세 조정 등 미국 측의 관세부과 조치 철폐 또는 완화다.
양국 협의에 앞서 안덕근 장관도 "상호관세가 부과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또 "25% 관세가 부과돼 있는 자동차는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가급적 신속히 풀 수 있도록 협의해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협의 후 기자들과 만난 최 부총리도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며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은 비관세 조치에 대해 적극적으로 압박해 올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측은 그동안 자동차·농산물·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를 주장해 왔다. 더구나 트럼프 대통령은 앞선 일본과의 회담에 등장해 자동차 안전기준 문제, 쌀 수입 유통과 관련한 불투명성, 육류 등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의 비관세 조치를 언급했다. 모든 내용이 한국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되는 내용들이다. 이날 회의에서 미국 측이 제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협력 부문은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이 협의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은 총 사업비가 440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여서 차기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대선 결과가 나오기 전 까지는 협상 마무리가 힘들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되는 의제 중 하나는 환율정책이다. 미국 측은 이날 협의에서 미국 무역적자 원인 중 하나로 환율 문제를 제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화 약세가 비관세 장벽 중 하나라는 인식이다. 미국의 과거 한미 통상협의 때도 통상 이슈 해결을 위해 환율 정책을 언급해 왔다.
최 부총리는 환율정책과 관련해선 "한국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