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5.1/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사진=뉴스1 |
[파이낸셜뉴스] 한덕수와 최상목의 사의로 이주호 사회부총리는 2일 대통령·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아 6·3 대선을 통해 새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33일간 국정을 이끌게 됐다.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라는 전례 없는 직함을 맡게 된 이주호 권한대행은 교육부 수장만 2번째인 교육전문가 출신이다.
MB정부에서 교육부 수장을 지냈던 이 권한대행은 윤석열 정부 출범 첫해인 2022년 9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돼 그해 11월 취임, 10년 만에 같은 자리로 복귀했다.
19951997년과 20032005년 두 차례 교육부 장관을 지낸 안병영 전 장관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교육부 수장을 두 번 맡은 인물이다.
경제학자 출신인 그는 교육정책 전문가로도 평가받는다.
서울대 무역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 경제학과를 마친 뒤 미국 코넬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 권한대행은 KDI에서 연구위원, 교수, 교육개혁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약했다.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당선돼 20042008년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명박 전 대통령 당선과 함께 2008년 대통령 교육과학문화수석에 발탁된 데 이어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과 장관(20102013년)을 역임했다.
당시 교과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학업성취도 평가, 입학사정관제 등 대입 자율화, 자율고·마이스터고 등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 교원평가 등 '자율과 경쟁'에 방점을 둔 MB표 교육정책의 설계자로 평가받는다.
이후 KDI 교수로 재직하며 글로벌교육재정위원회 위원,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사단법인 아시아교육협회 초대 이사장 등을 맡았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때는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보수 후보 단일화'를 내세우고 출마했으나 끝까지 선거운동을 이어가지는 않았다.
현 정부에서도 굵직한 정책들은 이 권한대행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개혁 3대 정책인 교육·돌봄 강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대학 개혁의 구체적 실행 과제도 그가 직접 이끌었다.
특히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그가 MB정부 이후 학계로 돌아갔을 때도 계속 관심을 둔 '교육 선진화' 과제였다.
이 권한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임기 반환점을 돈 작년 10~11월만 해도 장관 교체 1순위로 거론됐다. '장수 장관'이란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2025년도 예산안을 둘러싼 여야 대치 속에 12·3 계엄 사태가 발생했고, 윤 전 대통령 탄핵 정국이 전개되면서 이 대행의 임기는 자연스레 연장됐다.
이 대행은 올해 초 의대 증원 후 2년째 이어진 의정갈등에 주목했다. 의대 정원은 복지부 소관이지만 의대 교육만큼은 교육부가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의대생들이 올해도 집단휴학을 계속할 경우 의대 교육 파행은 물론 의료인 양성 자체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이에 1월부터 교육부 내 의대 학사 전담 의대국을 신설, 전국 40개 의대와 실시간 소통하며 의대생 복귀 대책과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 대행은 지난 3월 7일 의대생 전원 복귀 조건으로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혔고, 4월 17일 '원칙 저버린 백기투항'이란 비판 속에서도 이를 확정·발표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