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해커 이미지. 뉴시스 |
[파이낸셜뉴스] 북한 해커들의 전세계 금융자산 등에 대한 공격이 최근 급증하면서 주요 7개국(G7) 차원의 공동 대응이 검토되고 있다.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는 지난 2월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Bybit)에서 이더리움 14억6000만달러(약 2조1000억원)를 탈취했으며 이 가운데 최소 3억달러(약 4400억원)가 현금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건은 단일 해킹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했다. 또한 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은 지난해에는 47건의 공격을 통해 13억 4000만 달러(
한화 약 1조 9000억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탈취한 것으로 추정되는 등 규모가 이전보다 늘어나고 있다.
8일 외신 등에 따르면 오는 6월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 의제에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포함 시키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북한 해커조직은 가상화폐 탈취와 자금세탁 등을 일삼아왔다. 북한이 해커들의 탈취로 얻은 수익은 북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대북 소식통은 보고 있다.
G7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문제 논의 거론은 북한의 사이버 활동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우려가 높아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서 유엔도 북한 해커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왔지만, 지난해부터 구속력 있는 공동 대응이 크게 약화됐다. 유엔의 대북제재의 실질적 감시기구인 전문가패널은 2017~2023년 북한 해커가 30억 달러(약 4조 원) 이상의 가상화폐를 탈취해 무기 개발 자금으로 전용했다고 밝혔고, 50개국 이상이 북한 해커의 직접적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임기 연장이 무산과 함께 해체되면서 유엔 차원의 실질적 감시·공조 역량이 크게 약화됐다.
유엔과 별도로 북한 해커와 해킹조직에 대해 한국, 미국 등 각국에선 독자제재를 시행해왔다.
한국은 지난 2023년 2월 북한 해킹조직 '라자루스', '블루노로프', '안다리엘' 등 7개 기관과 박진혁 등 해커 4명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처음 지정했다. 이는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응한 첫 독자제재 조치였다.
미국 정부도 지난 2018년 소니픽처스 해킹,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등에 연루된 북한 해커 박진혁과 그가 속한 조직(라자루스 등)을 독자제재 명단에 올렸다. 미국의 독자제재 대상이 되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연말 최대 500만달러(약 71억5000만원) 현상금을 내걸고 북한의 정보기술(IT) 노동자의 해외 송출 및 돈세탁 등에 관여한 중국 및 러시아 소재 북한 IT 회사 관련 정보를 공개 수배한 바 있다.
 |
미 국무부가 1000만달러(약 138억원)의 포상금을 내건 북한 해커 림종혁. 뉴시스 |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