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교육·주거 등 청년 정책 1164억원 투입  |
고양특례시청 전경. 고양특례시 제공 |
【파이낸셜뉴스 고양=김경수 기자】 경기 고양특례시가 청년 자립과 도약을 위한 정책을 본격 시행한다.
11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청년들을 위해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등 49개 사업에 1164억을 투입한다.
우선 청년 복합 문화 공간인 ‘내일꿈제작소’를 중심으로 청년이 주도하는 취·창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지난달 8일 4층 규모로 개관된 내일꿈제작소(연면적 6,854㎡)는 업무 협력 공간, 임대 카페, 영상 촬영실, 청년 창업 입주 공간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만8000명을 대상으로 3개 분야 26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청년 입주자들이 이곳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유망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한다.
 |
고양특례시 내일꿈제작소 전경. 고양특례시 제공 |
시는 일자리부터 교육까지 청년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13억을 투입해 올해 첫 시행한 '청년일자리 미래패키지' 사업이 대표적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미래도약 일자리 지원 △미래드림 창업 지원 △미래 성장 행정 체험 연수 등이다.
시는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정규직 취업 청년에게 인건비와 근속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다. 10곳의 초기 기업 창업자에게는 시제품 제작비 1500만원(1년차)과 인건비 80%(2년차)를 제공한다.
미래 산업 청년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 1.2억원을 투입한다. 미취업 청년 대상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프트웨어 코딩, 데이터 분석 등 4차 산업 기반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고양 청년의 날' 행사 환담회에 참석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가운데)과 청년들이 대화를 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
이 밖에도 청년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주거, 복지, 문화 권익 참여 관련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을 통해 무주택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원씩 24개월간 지원한다. 최대 1억원까지 전세 및 반전세 자금 대출을 추천하고, 연이자 3%를 지원하는 ‘고양 청년둥지론’도 지속 운영한다.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정서 회복을 위한 복지 정책 또한 추진된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대상은 2800명이다.
정신 건강 외래 치료비, 심리 상담, 사례 관리 등을 지원하는 ‘정신 건강 증진 사업’에는 1억8000만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청년이 주체적으로 삶을 설계하고, 지역사회와 연결되며 안정된 환경 속에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종합적이고 세심한 지원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ks@fnnews.com 김경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