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1 제공 |
[파이낸셜뉴스] 5년차 사회초년생 A씨는 직장을 다니며 빠르게 1억원을 모으는 게 목표다. 문제는 매달 평균 100만원씩 저축을 하고는 있지만, 생각보다 돈이 잘 모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달마다 쓰고 남은 돈을 모두 파킹통장에 모아두는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월 수입 대비 저축 비중이 너무 많은 것은 아닌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가 좋다고는 하는데, 투자를 시작해야 할지 궁금해 재무상담을 신청했다. 20대 후반, 월 수입 280만원선 수준에선 얼마를 쓰고 모으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기준'도 궁금해졌다.
29세 A씨 월 수입은 280만원이다. 연간 비정기 수입은 분기별 성과금 800만원이 들어온다. 월 지출은 243만8000원이다. 고정비가 휴대폰(5만7000원), OTT(2만1000원), 보장상보험료(25만원), 모임회비(7만원) 등 39만8000원이다. 변동비는 점심과 용돈(90만원), 교통비(14만원) 등 총 104만원이다. 저축은 청약저축(10만원), 청년도약계좌(40만원), 정기적금(50만원) 등 100만원씩 하고 있다. 미파악 지출은 36만2000원인데, 남는 자금 일부는 파킹통장에 넣어두고 있다. 연간 비용은 1200만원이다. 자산은 청약저축(130만원), 청년도약계좌(520만원), 정기적금(150만원), 정기예금(600만원), 파킹통장(2200만원) 등 총 3600만원이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사회초년생이 종잣돈 '1억원'을 모으기 위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변동지출과 비정기지출을 구분하는 일이다. 변동지출에는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식비와 교통비, 관리비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 의류비나 화장품비, 경조사비는 변동지출이 아니라 비정기지출로 인식하도록 한다. 비정기지출은 연간 단위 예산을 세워 비상금을 미리 파킹해두고 사용하면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야 한다. 변동지출은 기본 생활비인 만큼, 한 달 월급에서 소비토록 한다.
다음으론 저축의 종류가 크게 두 가지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소비형 저축과, 자산형 저축이다. 전자는 비정기지출을 위해 연간 사용할 비상금을 미리 쌓아두는 것이다. 필요할 때 제때 사용할 수 있도록 현금성 자산으로 저축해야 한다. 후자는 그 외 주거마련, 결혼자금, 은퇴자금 마련을 위해 저축하는 것이다. 각자의 투자 성향과 운용 가능 기간에 따라 위험 자산 상품 투자 등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
직장 5년차인 A씨의 현 자산이 3600만원이라는 것은 곧 연평균 720만원을 저축했다는 뜻이다. 매달 100만원, 최대 180만원까지 저축했다고 했지만 이 돈이 고스란히 모이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금감원 관계자는 "이는 A씨가 수입에서만 소비를 한 것이 아니라, 자산에서도 소비를 했기 때문"이라며 "소비지출 예산을 미리 세워두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먼저 A씨의 현 월급 수준에서 용돈(90만원)이 다소 많다고 진단했다. 비정기지출을 변동지출 항목인 용돈으로 인식해온 게 문제였다. 실제 A씨의 월 변동지출 104만원은 3개월 평균을 낸 금액이었고, 카드값 사용 내역을 보니 그보다 더 많이 지출한 달도 6개월 이상 됐다.
이에 A씨는 변동지출 항목인 생활비(교통비와 용돈)로 70만원, 비정기지출은 700만원으로 조정해 사용하기로 했다. 이때 생활비는 생활비 통장에서, 비정기지출은 비상금 통장에서 분리·관리한다.
소비 예산을 세우면, 저축 방향성도 잡힌다. 먼저 소비형 저축은 성과금 등 비정기 수입으로 받는 800만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1년 만기 자유적금에 가입해 돈이 생길 때마다 저축해 내년 비상금으로 사용한다.
자산형 저축의 경우 일단 변동비(생활비)를 70만원으로 줄이면, 한 달 저축 가능 금액이 170만원으로 오르게 된다. 이 경우 매년 2142만원, 향후 3년 내 1억원을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돈을 사용할 목적을 구체화해 청년도약계좌에 추가 납입과 ISA 등을 활용한 적립식펀드에 대한 장기적인 포트폴리오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소비자포털 '파인'을 인터넷 검색창에 입력하거나 금감원콜센터 1332(▶7번 금융자문서비스)로 전화하시면 무료 맞춤형 금융소비자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