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붉은 달 쏟아진 새벽…3년 만의 개기월식에 전국 밤하늘이 들썩였다

파이낸셜뉴스 2025.09.08 07:09 댓글 0

시민들 천체망원경 몰려와 토성과 성운까지 함께 관측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하늘이 붉게 물들며 개기월식이 절정을 맞았다. 3년 만에 찾아온 '블러드문'을 보기 위해 시민들은 전국 곳곳의 과학관과 천문대에 모여들었고, 긴 밤을 깨우는 환호가 이어졌다.

8일 한국천문연구원과 각 지역 천문대에 따르면 이번 개기월식은 이날 오전 2시 30분부터 시작돼 3시 11분 절정에 도달했으며, 5시 56분께 전 과정이 마무리됐다. 지구 그림자에 달이 완전히 가려지는 순간 달은 선혈처럼 붉은빛을 띠며 하늘 위 거대한 구체로 부상했다.

경북 영천 보현산천문과학관은 특별 강연과 함께 야외에 설치된 대형 천체망원경을 통해 붉은 달뿐 아니라 토성, 성운, 성단까지 함께 관측할 수 있도록 했다. 행사장에는 가족 단위 관람객과 천문 애호가들이 몰려들어 어깨를 맞대고 하늘을 응시했다. 강원 양구 국토정중앙천문대와 군포 대야도서관 누리천문대도 시민들을 위해 관측회를 열었고, 대전과 서울의 공원과 도심에서도 스마트폰 망원렌즈와 쌍안경을 든 시민들이 밤하늘을 향했다.

많은 이들이 붉게 물든 달을 카메라에 담으며 "다시는 쉽게 볼 수 없는 장면"이라고 감탄했다. 실제로 이번 개기월식은 2022년 11월 이후 3년 만에 찾아온 전 과정 월식이다. 전문가들은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지만, 망원경을 활용하면 달의 표면 질감과 빛의 변화를 훨씬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에 놓일 때 지구 그림자가 달을 완전히 가리면서 발생하는데, 붉은빛은 대기 산란 현상으로 인해 나타난다. 이날 '블러드문'은 전국 어디서나 뚜렷하게 확인됐고, 일부 지역에서는 별자리와 함께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다음 전 과정 개기월식은 2029년 1월 1일로 예정돼 있다.

#개기월식 #천문대 #한국천문연구원 #블러드문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